정치, 사회

양승태의 사법농단

피치리 2025. 4. 30. 18:02
728x90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연루된 사법농단 사건은 대한민국 사법 역사상 최대 규모의 법관 비위 사건으로, 사법부의 독립성과 국민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한 초유의 사태입니다.

출처 - 연합뉴스

 


◆ 사건 개요

사법농단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양승태가 대법원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대법원 산하 법원행정처가 청와대 등 행정부와 밀접하게 협조하며 재판에 개입하고, 재판 결과를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의혹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제 강제징용, 전교조 법외노조, 통진당 해산, 원세훈 재판 등 주요 민감 사건들의 판결에 외부 입김이 작용했고, 사법부가 자체 이익(예: 상고법원 설치)을 위해 재판을 정치적 거래 수단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습니다.


◆ 주요 내용

1. 상고법원 설치 로비

  • 법원행정처는 상고법원 설치라는 제도 도입을 위해 박근혜 정부와 협조 관계를 구축했습니다.
  • 이를 위해 청와대에 유리한 재판 결과를 제공하거나, 불리한 재판은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정치권과 '거래'**를 시도했습니다.

2. 재판 개입 정황

다수의 민감 재판에 사법부가 개입했다는 문건이 발견됐습니다.

사건
개입 방식
강제징용 소송
판결을 고의 지연. 외교부와 협의해 외교 마찰 최소화 시도
전교조 법외노조 판결
청와대에 유리한 방향 유도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심판
헌재와 협조, 판결 일정 관리 시도
원세훈 국정원 댓글 사건
항소심 판결 지연 및 유죄 가능성 축소 노력
KTX 승무원 해고 사건
노조에 불리한 결과 유도 정황

3. 판사 사찰 및 블랙리스트

  • 사법부는 내부 반발 세력인 소장판사나 진보성향 판사들의 성향을 조사하고 인사 불이익을 주는 ‘판사 블랙리스트’를 운영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 수사 및 기소

  • 2018년 하반기, 검찰 수사 결과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포함해 법원행정처장 출신 대법관들(박병대·고영한) 등이 직권남용, 공무상 비밀누설 등 47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 2019년 1월, 양승태 전 대법원장은 헌정 사상 최초로 구속된 전직 대법원장이 되었습니다.

◆ 재판 경과

  • 재판은 무려 4년 이상 진행되었으며, 1심은 2024년 1월에야 마무리되었습니다.
  •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1부는 양 전 대법원장과 박병대·고영한 전 대법관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 재판부는 직권남용죄 성립 요건이 엄격하다며, “‘권한이 없으면 남용도 없다’는 논리”로 사법 개입 정황은 인정하면서도 형사처벌은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 사회적 파장

  •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극도로 훼손되었고, 사법개혁 요구가 커졌습니다.
  • 이에 따라 법관 독립성 보장, 행정처 폐지·개편 논의, 그리고 상고심 제도 개선 등이 공론화되었지만, 실질적인 개혁은 지지부진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결론

양승태 사법농단은 사법부가 권력과 결탁재판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스스로 훼손한 사건입니다.

법적으로는 일부 무죄 판단이 내려졌지만, 도덕적·제도적 책임은 여전히 무겁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728x90